티스토리 뷰
식민사관은 무엇이며~
식민사관의 뿌리는?
식민사관이란?
일제강점기 일본사관의 틀에 맞춘것으로~
1892년 하야시 다이스케가 주장한
일선동조론은
1920년대 내선일체론으로
1930년대 황민화 정책으로 확대되었다
⊙ 식민사관의 핵심 3가지는
1) 일선동조론
2) 한국사는 정체와 낙후의 악순환을 반복했다는 정체성론
3) 한국사는 자율적 발전을 이루지
못하고 주변강대국의 지배와 도움을
받았다는 타율성론으로 요약된다
광복후 아직도 우리나라를
지배하는 식민사관의 시작은?
국체론을 전개하면서
존황정한 사상을 주장~
정한론으로 이어졌다
정한론은 역사침탈로부터 시작되었는데
1892년 하야시 다이스케의 조선사는
일본인이 쓴 최초의 한국사인데
일선동조론과 임나일본부설을
담고 있다
메이지유신이후 일본의 한국사
연구는 침략의 명분이자
식민사관의 뿌리가 되었던것이다
조선반도사편찬과를 구성하고
편찬요지를 공표했는데
반도사 편찬의 주안점은
1) 일본인과 한국인이 동족임을 명확히 하는것
2) 고대부터 시대의 흐름에 따라
피폐되고 빈약하게 된것을 기술하여~
합병에 의해 한국인이 행복을
누릴수 있게되었다는 점을 논술하는것에 있다
ㅡ 조선총독부. 1916
역사관 즉 식민주의 사관의 틀에서
기술해야 한다는것
~ 이것이 그들이 말하는 실증사학,근대 사학의 실체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방송자료를 요청하시면~
무료로 보내드립니다
식민사관의 뿌리는?
식민사관이란?
일제강점기 일본사관의 틀에 맞춘것으로~
1892년 하야시 다이스케가 주장한
일선동조론은
1920년대 내선일체론으로
1930년대 황민화 정책으로 확대되었다
⊙ 식민사관의 핵심 3가지는
1) 일선동조론
2) 한국사는 정체와 낙후의 악순환을 반복했다는 정체성론
3) 한국사는 자율적 발전을 이루지
못하고 주변강대국의 지배와 도움을
받았다는 타율성론으로 요약된다
광복후 아직도 우리나라를
지배하는 식민사관의 시작은?
국체론을 전개하면서
존황정한 사상을 주장~
정한론으로 이어졌다
정한론은 역사침탈로부터 시작되었는데
1892년 하야시 다이스케의 조선사는
일본인이 쓴 최초의 한국사인데
일선동조론과 임나일본부설을
담고 있다
메이지유신이후 일본의 한국사
연구는 침략의 명분이자
식민사관의 뿌리가 되었던것이다
조선반도사편찬과를 구성하고
편찬요지를 공표했는데
반도사 편찬의 주안점은
1) 일본인과 한국인이 동족임을 명확히 하는것
2) 고대부터 시대의 흐름에 따라
피폐되고 빈약하게 된것을 기술하여~
합병에 의해 한국인이 행복을
누릴수 있게되었다는 점을 논술하는것에 있다
ㅡ 조선총독부. 1916
역사관 즉 식민주의 사관의 틀에서
기술해야 한다는것
~ 이것이 그들이 말하는 실증사학,근대 사학의 실체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방송자료를 요청하시면~
무료로 보내드립니다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동북아 역사전쟁
- 도전강독 콘서트
- 역사광복
- 세계환단학회
- 태을주
- 상생방송
- 대구 태을주수행
- 주문수행
- 도종환역사관
- 증산도 종도사님
- 식민사학
- 증산도개벽
- 도전강독콘서트
- 태을주 효과
- 동북아역사재단해체
- 증산도 개벽
- 증산도
- 태을주수행
- 가을개벽
- 우주1년
- 증산도 태을주
- 식민사관
- 증산도 태상종도사님
- 도전
- 증산도 안운산 태상종도사님
- 카자흐스탄 환단고기 북콘서트
- 개벽
- 증산도 도전
- 역사왜곡
- 수행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