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4월 초파일은
석가탄신일일까요?

부처님 오신날은
불교를 국교로 하고 있는
태국은 음력 4월 15일 그리고
대부분 다른 나라에서는
2월 8일을 석가모니 탄신일로 잡고 있습니다.

또 1956년 네팔에서 개최된
제 4차 세계불교대회에선 부처님 탄신일로 5월 15일로 정하여
시행하기로 했습니다.

그러나 우리나라만 지금까지 부처님 오신날을 음력 4월 8일로 지켜오고 있습니다.

무슨 이유일까요?

불교가 한반도에 들어온 시기는 사국시대(四國時代 -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때입니다.
한반도 불교 초기에는 다른 종교처럼 불교를 뿌리 내리기 위해 어려운 과정이 있었습니다.

그러다 신라 때 비록 불교적 의미가 있는 팔관회라는 명칭으로 바꾸기는 하였으나,

하늘의 상제와 호국안민을 위해 왕이 직접 제(祭)를 지내던
제천(祭天)행사인 팔관회가
불교의 팔관회로 변질하여 버렸습니다.
이렇게 우리 한민족의 문화는
외래문화와 섞이는 과정을 겪으며
서서히 다른 모습으로 바뀌어 갔습니다.

현재의 석가탄신일이
음력 사월 초파일로 자리 잡게 된 것은
 ※ 고려 때부터입니다.

한반도에 들어온 불교는 신라에서 부처님오신날에 등을 밝히는 연등회 등의 행사가 있었지만,
음력 1월 보름과 2월 보름에
연등행사를 개최하였습니다.
그런데 고려 때부터
음력 사월 초파일로 바꿔서
부처님 오신날 행사를 하였습니다

고려는 고구려를 계승한다는
의미로 나라 이름을 고려로 정했습니다. 고구려의 정신과 문화를
그대로 계승한 고려는 음력 사월 초파일에 고구려의 시조 해모수 단군께서 북부여를 건국하시고 즉위하신 날을 경축하기 위하여 관등경축(觀燈慶祝) 행사를 지내왔으나,
고려에 불교가 국교화되고
나라의 모든 행사도 불교 중심이 되는 과정에서 북부여 해모수 단군을 기리는 관등경축 행사가 석가모니 부처님의 탄신일 행사로 둔갑하게 되었습니다.

※壬戌 秦始時에
神人大解慕漱가 起於熊心山하시고 (삼성기 상)

※壬戌元年이라 帝天姿英勇하시고
神光射人하시니 望之苦天王郞이러시다.
年二十三에 從天而降하시니
是檀君高列加五十七年壬戌四月八日也라. (북부여기 상)

삼성기 상과 북부여기 상편의 구절에 보면 임술 원년,
즉 "고열가 단군 57년 4월 8일에 웅심산에서 일어났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檀君解慕漱之初降이 在於壬戌 四月初八日하니 乃秦王政八年也라. (태백일사 - 고구려국본기)
단군 해모수가 처음 내려온 것은 단군 고열가 57년 임술 4월 8일이었다.
이때는 진나라 임금 정 8년이었다.

그러니까 4월 8일은 대해모수 단군이 북부여를 여신 날, 즉 북부여 건국기념일이 됩니다.

 삼국유사 북부여조에도
해모수 탄신일이 4월 8일로 나옵니다..
前漢書 宣帝 神爵 三年
壬戌四月八日-전한서 선제
신작 3년 임술 4월 8일에~~~~

■■■■■■■■■■■■■■■■■■■■
항일 독립운동가들이
나라와 역사를 찾기위해 읽던역사책!

일제가 그토록 말살하고자 했던
한민족의 혼과 역사가 담긴 진서,
고성이씨 집안에서 국통의 혼을 지켜서
전수해준 책입니다.
 
유교 사대노선을 걸었던
조선시대에 금서로 수거되었던 서적입니다. 마침내 천년의 어둠을
뚫고 세상에 나왔습니다.

중국의 동북공정과 
한국이 고대중국의 일부였다는
시진핑의 망발에도
일언반구 못하는 강단 역사학계.

역사를 잊은 민족에겐 미래가 없습니다

※ 더 자세한 내용은
방송자료를 신청(문자)하시면~
무료로 보내드립니다.